스테이킹(Staking), 언스테이킹(Unstaking)

 

 



스테이킹(Stacking)이란 가상암호화폐의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Consensus)과 관련된 용어이다. 합의 알고리즘에는 PoW, PoS, DPoS 등이 있으며, 이들 중 PoS DPoS를 사용하는 가상암호화폐에서만 스테이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PoSDPoS S Stack를 의미하는데 이 단어를 해석하면 "지분"이라는 말이고, 지분(Stake)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가상암호화폐들의 가장 큰 특징은 지분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혜택을 주도록 설계된다는 것이다.

 

 

스테이킹 정의(Definition)

첫째, 자신의 코인을 블록체인 플랫폼에 일정시간 보증금으로 맡기는 것이다.

둘째, 자신의 코인을 맡기면 블록체인 플랫폼의 자원의 일부는 내 것이 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블록체인 플랫폼 자원 내에서 자신이 맡긴 코인에 비례하여 지분이 할당 된다.

넷째, 스테이킹을 한 코인은 거래가 불가능한 상태로 변경되기때문에 락(Lock)을 한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다섯째, 스테이킹을 한 코인은 언스테이킹(Unstaking)을 통해 다시 되돌릴 수 있다. , 언스테이킹을 할 때는 일정시간이 필요하다. 언스테이킹에 걸리는 시간은 플랫폼마다 다르며, 이오스(EOS)의 경우 3(72시간), 스팀잇(STEEMIT)의 경우 13(312시간)이 필요하다.

 

 

스테이킹 설계(Design)

1. BlackChain Platform

개발자가 블록체인 플랫폼위에서 댑(DApp)을 운영하려면, 자신이 DApp을 운영할 때 필요한만큼의 자원(ex, CPU, Network Band Width)을 스테이킹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Stacking을 활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위에서는, 블록생성자(Minor)가 블록(Block)을 생성하면 일정금액의 정해진 코인을 보상(Reward)받는다. , 조건 하나가 있다. 블록생성자들 중에 투표(Voting) 가장 많이 받은 몇명의 블록생성자들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투표는 우리와 같은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코인을 스테이킹(Staking)하면 투표권이 생기는데, 이때 생성된 투표권으로 투표를 해주면 된다.

 

 

스테이킹 사례(Case)

1. BlockChain Platform

블록체인 플랫폼은 스테이킹을 해서 투표를 해준 사용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플랫폼과 보상이 없는 경우와 보상이 있는 경우로 나뉜다.

 

보상이 없는 플랫폼 (ex, EOS) :

사용자에게 보상은 없지만 블록생성자는 투표가 필요하므로, 투표를 해준 사용자가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DApp들을 만들어서 지원(Support)해주고 있다.

 

보상이 있는 플랫폼 (ex, STEEMIT, LOOM) :

사용자가 투표를 위해 스테이킹을 하면, 블록생성자가 블록을 생성할 때 보상받는 코인의 일부를 자신을 위해 스테이킹해준 사용자들에게 스테이킹한 수량이나 스테이킹한 기간에 비례해서 분배해준다.

 

2. DApp

DApp 운영을 위해 필요한 자원을 개발사에서 직접 스테이킹하는 경우와 사용자들이 스테이킹하는 경우로 나뉜다.

 

개발사가 스테이킹하는 일반적인 DApp :

개발사가 자신이 서비스에 예상되는 자원을 모두 직접 스테이킹하고,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만 할 뿐, 스테이킹이나 투표 등의 작업에 신경을 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들이 스테이킹하는 Game DApp :

게임을 하려면 일정금액을 스테이킹해야한다. 이 방법은 내가 게임을 할 때 필요한 CPU, Network Band Width, Memory 만큼 직접 스테이킹을 통해 할당한 후 사용하는 것이다. (ex, 이오스나이츠, EOS Knights)

 

사용자들에 스테이킹하는 Wallet DApp :

지갑을 통해 거래를 하려면 소량이지만 일정금액의 스테이킹을 요구하는 것이다. , 트랜잭션이 발생비용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